고객안내

과정뉴스

[CMA]에세이(서술형) 완전 정복: 채점 관점과 답안 구조 만들기

  • 2025-10-01
  • 4

 

 

서술형은 두 파트 각각 2문항, 총점의 25%를 차지합니다. 숫자+논리+표현을 함께 평가하므로, 계산만 맞아도 감점될 수 있고, 수치가 약간 틀려도 가정·근거·절차가 명료하면 부분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아래 가이드는 채점자 관점 → 30분 운용 → 템플릿 → 계산 표기법 → 감점 방지 → 연습 루틴 순으로 정리했습니다.


1) 채점자가 먼저 보는 것(5가지)

  1. 요구사항 충족: 질문이 2?4개로 나뉘어 있으면 모두 답했는가.

  2. 구조: 결론이 맨 앞에 있고(핵심 한 줄), 뒤에 근거·계산·시사점이 체계적으로 붙는가.

  3. 정확성: 정의·공식·가정이 올바른가(세후/세전, 단위, 시점).

  4. 전문 용어·톤: 시험 언어를 사용했는가(예: contribution margin, WACC, CVP, ROI/EVA 등).

  5. 가독성: 불릿·표 활용, 오탈자 최소, 중복 서술 없음.


2) 30분 타임 매니지먼트(권장)

  • 분 0?3: 요구사항 하이라이트(동사 표시: calculate, compare, recommend, justify). 주어진 표·주석에서 단위 확인.

  • 분 4?5: 한 줄 결론(Pre-answer) 미리 작성.

  • 분 6?18: 계산·표(단계별). 틀려도 공식→대입→결과의 3단 구성을 유지.

  • 분 19?24: 근거 서술(정의·가정·민감도 한 줄).

  • 분 25?28: 시사점·리스크(2?3불릿).

  • 분 29?30: 검산 체크(단위, 부호, 세후/세전, 소수점) + 오탈자.


3) 만능 템플릿: C-R-C-I(Conclusion → Rationale → Calculation → Implication)

  • Conclusion(결론): “Project A is recommended because its NPV is positive at 9%.”

  • Rationale(근거): 개념·정의 1?2문장. “NPV reflects shareholder value in present terms and dominates IRR for mutually exclusive projects.”

  • Calculation(계산): 표/단계식(공식→대입→결과). 단위·세후 명기.

  • Implication(시사점/리스크): 의사결정 영향 2?3불릿. “If volume falls by 5%, NPV turns marginal; consider price floor.”

: 모든 문제를 이 틀에 찍어내면 일관성으로 점수를 지킵니다.


4) 질문 해석 5단계(오답 방지용)

  1. 동사: compute / identify / explain / recommend / justify.

  2. 범위: 파트/챕터 단서(CVP? WACC? ROI vs EVA?).

  3. 단위: 천 달러? 개수? %?

  4. 시점: t=0, 연말/연초, 평균/기말.

  5. 조건: 세후(1-T), 믹스 고정, 가격·볼륨·가정.


5) 계산 표기 규칙(채점자 친화형)

  • 공식 먼저: NPV = Σ CF_t/(1+r)^t ? CF_0 → 바로 수치 대입.

  • 세후 전환: NOPAT = EBIT × (1-T), WACC의 세금은 부채에만.

  • 단위·라벨: 표 상단에 “(in $000s)” 명시.

  • 등가수량/원가 차이: DM·전환원가를 분리, 정상/비정상 공손 구분.

  • 시간 이월 규칙: MCQ 남은 시간만 에세이로 이월, 역이월 불가 → 초반 과속 금지.


6) 전문 용어·문장 예시(점수 올라가는 표현)

  • 정의: “Operating leverage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EBIT to changes in sales.”

  • 비교: “EVA deducts capital charge; ROI does not, hence goal-congruency issues.”

  • 가정: “Assuming a 9% discount rate and constant mix …”

  • 권고: “We recommend deferring CAPEX until utilization exceeds 80%.”

  • 리스크: “Key risks: demand volatility, cost overrun; mitigate with phased rollout.”


7) 감점 포인트 TOP 8 & 회피법

  1. 결론 없음 → 첫 문장에 한 줄 결론 고정.

  2. 세후/세전 혼동 → 세후 표기 체크박스(□ 세후 적용).

  3. 단위 누락 → 표 제목에 단위 고정.

  4. 부호 오류(유입/유출) → 초기투자 CF_0음수로.

  5. 가정 미표시 → 할인율·믹스·물가 등 한 줄 가정.

  6. 정의 틀림 → ROI/EVA, CM/BEP, DDM/RIM 구분 메모.

  7. 장문 난삽 → 불릿·표 사용, 문장 2~3줄 이내.

  8. 질문 누락 → 소문항 앞에 (a)(b)(c) 라벨.


8) 2주 완성 연습 루틴

  • D-14 ~ D-8: 하루 1세트(30분) × 5일. 매회 C-R-C-I로 작성, 채점표(요구사항·구조·정확성·용어·가독성)로 자평.

  • D-7 ~ D-3: 약점 주제(원가차이, WACC/NPV, ROI/EVA, CVP)만 집중 3세트.

  • D-2 ~ D-1: 미니셋 2개(각 15분) + 체크리스트만 반복(단위·세후·부호·시점).

  • 매회 피드백: 오답을 규칙 문장으로 재작성. “WACC 세금은 부채에만.” 처럼 짧게.


9) 미니 예시(요약형)

요구사항: A·B 프로젝트 비교, r=9%, 세후 기준, 추천 사유 제시.

  • Conclusion: Project A is recommended because its NPV is positive ($+120k) while B is negative ($-40k) at 9%.

  • Rationale: NPV maximizes value and is preferred over IRR for mutually exclusive projects.

  • Calculation (in $000s):
    NPV_A = ?500 + 220/1.09 + 220/1.09^2 + 220/1.09^3 = +120
    NPV_B = ?400 + 150/1.09 + 150/1.09^2 + 150/1.09^3 = ?40

  • Implication: If volume drops 5%, A remains marginally positive; secure minimum-volume clauses.


10) 마지막 체크리스트(시험장에 들고 갈 마음가짐)

결론 한 줄부터 쓴다.
공식→대입→결과, 단위·세후·부호 표기.
소문항 라벨로 요구사항 누락 방지.
근거 2문장 + 시사점 2불릿.
2분 검산(단위/세후/부호/시점).

요약: 서술형은 형식의 승리입니다. C-R-C-I 템플릿, 30분 운용, 네 가지 검산(단위·세후·부호·시점)만 습관화해도 안정적으로 80% 이상의 점수를 회수할 수 있습니다. 베커의 모범답안·SkillBuilder를 로 삼고, 나만의 사례·표현으로 계속 덧칠하세요.